2008년 9월, Technology Review에 유럽의 유전자 지도에 대한 기사가 실렸습니다.
보통 유전자 지도(地圖)라고 하면, DNA 염기서열 데이터를 지도에 비유해서 표현하곤 하는 말인데요. 이 기사가 소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전자 정보가 정말로 유럽의 실제 지도와 잘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1 2
위 그림에서 왼쪽 그림은 유럽의 지도입니다. 오른쪽 그림은 유럽인 3,200명의 DNA를 조사한 후, 그 중 A,T,C,G 염기가 몇개나 다른지 재서 그 정도에 따라 2차원 평면에 그린 것 3입니다. 오른쪽 그림의 색깔은 해당 유럽인의 출신 지역 4을 뜻하고요. 유전자 지도와 실제 지도가 잘 겹치는 것은, 역시 근처 지역의 사람끼리 결혼해서 자손을 낳은 경향이 많았음을 뜻하죠. 5
이 지도는 스위스에서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쓰는 지역을 구분할 정도로 정밀하다고 합니다. 유럽은 지역 특성상 혼혈이 많을 줄 알았는데, 그건 아니었나보네요.
어쨌든 유전자 데이터가 이런 식으로도 지리정보와 연결되고, 또 시각화된다는 점이 신기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해당 논문을 참조하세요.
링크:
논문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56/n7218/abs/nature07331.html
관련 기사 http://www.technologyreview.com/biomedicine/21326/
관련 블로그 및 정보
http://www.flickr.com/photos/jurvetson/2986385197/in/pool-52239931481@N01
http://infosthetics.com/archives/2008/11/geocoding_genes_for_cartographic_comparisons.html
보통 유전자 지도(地圖)라고 하면, DNA 염기서열 데이터를 지도에 비유해서 표현하곤 하는 말인데요. 이 기사가 소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전자 정보가 정말로 유럽의 실제 지도와 잘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1 2
유럽의 유전자 지도
위 그림에서 왼쪽 그림은 유럽의 지도입니다. 오른쪽 그림은 유럽인 3,200명의 DNA를 조사한 후, 그 중 A,T,C,G 염기가 몇개나 다른지 재서 그 정도에 따라 2차원 평면에 그린 것 3입니다. 오른쪽 그림의 색깔은 해당 유럽인의 출신 지역 4을 뜻하고요. 유전자 지도와 실제 지도가 잘 겹치는 것은, 역시 근처 지역의 사람끼리 결혼해서 자손을 낳은 경향이 많았음을 뜻하죠. 5
이 지도는 스위스에서 이탈리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쓰는 지역을 구분할 정도로 정밀하다고 합니다. 유럽은 지역 특성상 혼혈이 많을 줄 알았는데, 그건 아니었나보네요.
어쨌든 유전자 데이터가 이런 식으로도 지리정보와 연결되고, 또 시각화된다는 점이 신기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면, 해당 논문을 참조하세요.
링크:
논문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456/n7218/abs/nature07331.html
관련 기사 http://www.technologyreview.com/biomedicine/21326/
관련 블로그 및 정보
http://www.flickr.com/photos/jurvetson/2986385197/in/pool-52239931481@N01
http://infosthetics.com/archives/2008/11/geocoding_genes_for_cartographic_comparisons.html
- map이라는 영어 단어를 그냥 번역한 것이기도 하다. [본문으로]
- J. Novembre, Genes mirror geography within Europe, Nature 456, 98-101 (6 November 2008) [본문으로]
-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염기변이 또는 단일염기다형성. 염기 서열 중 한 점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을 뜻한다. 친자확인을 하거나 할 때 SNP 정보를 이용한다고 한다. [본문으로]
- SNP 차이 데이터를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해서 두 주 성분을 찾은 것이다. 위 그림에서 Y축은 첫번째 주 성분이고, X축은 두번째 주 성분이다. [본문으로]
- 증조부모의 국적 정보 등을 이용했다고 한다. [본문으로]
'정보시각화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가 만일 100명의 마을이라면 (0) | 2009.01.13 |
---|---|
와인 맛 시각화 (2) | 2009.01.01 |
비만의 인과 고리 (0) | 2008.12.08 |
지하철 인포그래픽스(Infographics) (0) | 2008.12.06 |
G-Econ - 위경도별 경제 데이터 (0) | 2008.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