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명록을 남겨주세요!
-
권애정 2010.05.21 16:22 수정/삭제 댓글쓰기
저는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social network analysis라는 분야를 앞으로 공부하려 하는데요, 이제 pajek에 입문하여 공부하고 있습니다. exploratory sna with pajek이라는 책으로 공부하려 하는데, 정말 정말 너무 너무 이해가 잘 안가네요. 정말 스스로한테 실망감이 이만저만이 아니면서 엄청 속상하고, 그래도 공부는 해야겠고, 그런데 이해는 잘 안되고의 프로세스가 계속 반복입니다. 어떻게 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공부하셨는지 알고 싶어요.
-
crefrog 2010.06.07 17:10 수정/삭제
저는 전공이 네트워크 이론이다보니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 것 같습니다. ;; 아무래도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으면 배우기 어렵죠. pajek 말고 좀 쉬운 프로그램을 소개해볼까 하는데 게을러서 시간을 잘 못내네요. (pajek은 설명이 부실해서 저도 쓰기 좀 어려워합니다. )
-
-
늙은소 2009.11.30 18:25 신고 수정/삭제 댓글쓰기
안녕하세요. 조금 황당한 경로를 통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평소 정보시각화에 관심이 많아 저 역시 여러 책과 이미지들을 수집하고 있었는데, 비슷한 관심을 지니고 계셔서 반갑네요. 혹시 도움이 되실까 해서 몇 가지 정보 공유할까 싶어 글 남깁니다.
통계쪽을 전공하시는 듯 하여
Hans Rosling 교수가 참여한 Gapminder Foundation에서 개발한 Gapminder를 좋아하실 것 같습니다.
이 분 동영상 강의가 TED.com에 올라와 있는데 영상으로 보시면 더 이해하기 쉬울 듯..(복잡한 통계 데이터들을 3중, 4중.. 처리하며 Time 까지 추가해 재해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인데 헉 소리가 나오더라고요.
http://www.ted.com/talks/hans_rosling_shows_the_best_stats_you_ve_ever_seen.html <- 강연영상
graphs.gapminder.org <- 여긴 해당 프로그램을 무료 공개하여 직접 사용해볼 수 있도록 한 곳
또 하나는 괜찮은 Infographic이 많은 사이트로 www.good.is 라는 곳입니다.
환경보호와 사회운동에 포커스를 둔 잡지사로,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통계그래프가 기사와 함께 자주 올라오곤 하더군요.
도움 되기 바라며, 하시는 일 잘 되시기 바랍니다. -
전균 2009.10.15 14:22 수정/삭제 댓글쓰기
요즘 주가의 상관성을 MST 방법으로 분석하려고 들여다 보고 있습니다.
일정기간 50개 종목의 주가시계열의 상관계수를 metric distance로 재구성하여
이를 Pajek으로 tree를 만들어보고자 하는데요.
주가의 MST를 pajek으로 구현한 자료를 어떻게 도출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가능하시면 차근차근 알려주시겠습니까?
댓글로 알려주시기에 내용이 많으시면
jgrats@hotmail.com으로 부탁드려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
scharf 2009.07.14 18:29 수정/삭제 댓글쓰기
검색을 통해 들어오게 됐는데,
Pajek 관련하여 질문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google 검색을 통해 몇개의 자료들을 보았는데,
pajek을 통해 minimum spanning tree를 그릴 수 있다고 하는데,
도저히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해본건, net -> hier... decomposition -> clustering -> run ( option에서 minumum)
이후에 hierachy -> make network
이렇게 했는데 도저히 찾은 자료에서 보이는 것처럼 깔끔하게 떨어지질 않더라구요.
관련하여 혹시 답변을 주실수 있는지요.
부탁드릴게요 (_ _)-
crefrog 2009.07.20 23:51 신고 수정/삭제
계층적 클러스터링을 하려면 우선 dissimilarity matrix를 정의해야합니다. 우선 Cluster/Create Complete Cluster를 하시고, Operations/Dissimilarity/Network Based를 이용해서 노드간 거리를 정의하세요. 몇가지 옵션이 있는데 눌러보면 해당 식이 나오니까 그걸 참고하시면 됩니다.
MST니까 말씀하신대로 Net/Hierarchical Decompositon/Clustering/Options에서 minimum을 고르시면 됩니다.
-
-
ellisavet 2009.06.14 17:32 신고 수정/삭제 댓글쓰기
안녕하세요.
드디어,웹서비스합성에관한그래프를그려서,네트워크분석을하려고하는데요,
degree를구하려고하니까,loop이있기때문에,구할수없다고하던데,log log그래프는degree를input,output따로따로 구한다음에,제가그리는건가요?아니면,function이존재하는건가요?
항상성의있는답변 감사드립니다.그럼,좋은주말보내세요.^^ -
seniua 2009.05.22 23:19 수정/삭제 댓글쓰기
안녕하세요?
웹서비스 합성에 관련한 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웹서비스 합성을 하는데 주어지는 웹서비스들을 pajek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하고 싶은데,
pajek의 input 파일을 보면, 노드와 링크등을 쓰는 .net이라는 게 있는데, 웹서비스 수가 작은게 아니라 매우 큰데, 이걸 다시 인풋 파일로 옮기기에는 불가능할 것 같아서 그런데, 혹시 방법이 있는지요?
pajek에 대한 설명이 이 곳이 제일 잘 되어 있네요. ^^
감사드립니다.
그럼, 답변 부탁드립니다.-
seniua 2009.05.23 22:14 수정/삭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웹서비스의 인풋과 아웃풋 수와 그 개수가 모두 합쳐서 1000개 정도가 되고요. 한개의 웹서비스에는 인풋, 아웃풋의 수가 랜덤합니다. 2개의 인풋과 4개의 인풋을 가질수도 있고, 다양합니다. 그리고 한개의 웹서비스에 쓰인 인풋이나, 아웃풋 파라미터가 다른 웹서비스에 쓰이는 건 당연하구요.^^
근데, 문제는 시맨틱 개념이 들어가게 되는 건데요. 이것은 concept이라는 노드들이 부모 자식 관계와 같이 하이라키를 가지게 됩니다. 즉 한개의 root concept아래에 여러개의 concept이 있고, 그 아래 또 여러개의 concept이 있는등, 트리구조를 이루고 있지요.
그리고 concept의 인스턴스가 있는데, 그 개수는 한개일수도 여러개일수도 있는데, 이것이 서비스의 인풋, 아웃풋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 서비스를 실행해서 어떤 아웃풋을 얻었으면, 그 아웃풋은 시맨틱에서 어떤 concept의 인스턴스로써, 그 다음으로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는 concept의 하위에 있는 concept의 인스턴스들을 인풋으로 쓰는 웹서비스들 중에 있는 것입니다.
엄청 복잡한데,ㅠ
시맨틱을 적용하기 전에, 가장 궁금한 건
웹서비스들간의 링크를 표현하기 위해서, 총 1000개의 파라미터들이 서비스의 인풋 아웃풋(인풋, 아웃풋 값도 여러개 가능)을 이루고 있으면, 이것을 일일이 표현할 수 있는게 가능한건지요? -
seniua 2009.05.31 04:51 수정/삭제
답변감사드립니다.
결론적으로 웹서비스를 노드로 두고, 웹서비스의 아웃풋이 다른 웹서비스의 인풋으로 쓰일수 있으면, 링크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였는데요,
여기서, maturity 체크를 할 수 있나요?
small world이니, scale-free니, 등등을 알 수 있다고 하는데, 찾아봐도 이런 function은 안 나와 있는것 같아서요.
그리고, 한가지더 여쭈어 볼게 있는데, net메뉴에서 path between 2 vertices에서 diameter를 구했는데요, 이게 the longest shortest path라고 하는데, 가장 길고, 가장 짧은??? 패스?
이 diameter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
topmok 2009.04.09 16:35 수정/삭제 댓글쓰기
안녕하세요. UX기획자입니다. 인포메이션 그래픽스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한 사람입니다. Blog내용이 매우 마음에 듭니다. 자주 방문하겠습니다. ^^